수목원이사장 에세이언론이 본 나남 조상호

자서전 《언론 의병장의 꿈》 펴낸 조상호 나남출판 대표
매체명 : 서울신문   게재일 : 2009-11-27   조회수 : 5420

서울신문 | 2009. 11. 27.

 

자서전 《언론 의병장의 꿈》 펴낸 조상호 나남출판 대표

 

 

“언론활동 한다는 생각으로 책 만들었죠”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출판단지로 접어들자 희뿌연 안개가 스멀스멀 기어 다녔다. 서울은 물론 자유로를 지나올 때까지만 해도 비가 흩뿌리는 구름들 사이로 언뜻언뜻 부신 햇살이 들락거렸건만 이곳에 들어서자마자 햇살도, 구름도 없이 오로지 안개다. 국내 내로라하는 130여 개의 출판사가 모여있는 곳. 서울에서 불과 30~40분 거리인데도 불구하고 마치 배를 타고 강을 건넌 듯 외딴섬에 들어선 느낌이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곳이라서겠지만, 책과 사람들 사이에 놓인 간극의 세태만큼 아득히 느껴진다. 


undefined
조상호 나남출판사 대표가 25일 30년 출판 인생과 함께 그동안 얽혔던 사람들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25일 오후 물 입자 가득한 파주의 침잠된 분위기는 건물 한쪽 벽에 커다랗게 소설가 고(故) 박경리의 얼굴을 그려 넣은 나남출판사에 이르며 조금씩 걷혀갔다. 

벽을 덮고 있는 담쟁이가 안개를 빨아들임이 틀림없다. 조상호(59) 나남출판사 대표가 호탕한 웃음으로 맞는다. 최근 펴낸 자신의 저서 《언론 의병장의 꿈》을 내놓은 뒤 쏟아지는 주위 반응에 짐짓 쑥스러운 표정을 지으면서도 한껏 들떠 있다. 


기자 하고 싶었지만 신분조회에서 탈락 

“사람들 앞에 ‘깨벗고(벌거벗고)’ 서 있는 심정이네. 아무튼 출판 30년, 인생 60년을 정리하는 기회가 된 것 같아 요즘 기분이 좋아요.” 

초면의 인터뷰어에게 대뜸 반말이 섞인다. 한데 묘하다. 불쾌하지 않다. 김형국 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조 대표의 이런 화법을 두고 “눅진눅진 또는 건들건들하는 남도 판소리의 ‘아니리’를 닮은 말솜씨”라 평하기도 했다. 

나남출판사 하면 신문방송학과 사회과학 등에 관심 있던 사람이라면 피하려야 피할 수 없이 들춰봐야 하는 책들을 오랜 시간 펴내온 곳이다. 

이후 문학ㆍ창작 분야까지 영역을 넓혀 이제껏 3,000여 권의 책을 발간했다. 특히 조 대표는 미셸 푸코와 위르겐 하버마스를 중역(重譯), 발췌역이 아닌 원문 완역으로 국내에 소개한 것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그는 왜 자신을 ‘언론 의병장’이라고 칭했을까. 

“기자를 하고 싶었지만 한 신문사 신분조회에서 떨어졌어. 나는 시대의 산물이었지. 개인적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에서 자존을 지키기 위해 택한 일이 출판이었고, 출판으로 언론 활동을 한다는 생각으로 책을 펴왔어요. 차선이었어.” 

나남의 책들이 언론학ㆍ사회학으로 시작되고, 또 집중된 배경이었다. ‘지금, 이곳’의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무기였고, ‘내일의 이곳’을 만들기 위한 차근차근한 준비였다. 

3년 전부터는 국가기관인 한국연구재단(옛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함께 100권의 시리즈를 목표로 명저번역사업을 진행하며 80권의 책을 내고 있다. 출판비도 60%를 나남이 부담하고 있으니 명실상부한 ‘관군을 돕는’ 의병장이 된 셈이다. 박경리의 《토지》와 《김약국의 딸들》이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되며 숨통을 틔워준 것도 한몫했다. 


박경리 《토지》 세 차례 완독 후 출간 

하지만 이것이 그저 출판 마케팅의 결과물은 아니다. 30년간 굳게 뿌리박은 심지가 있어 가능한 것이었다. 그를 읽는 두 개의 키워드는 ‘진심’과 ‘뚝심’이다. 

조 대표는 시인 조지훈을 고등학교 때 먼발치에서 본 뒤 사숙(私淑ㆍ간접적으로 배움)했다. 조지훈 선집을 펴내고, ‘지훈상’을 10년째 운영했다. 또 박경리는 조 대표가 사사(師事ㆍ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음)한 이다. 자신이 발행인이자, 주간, 편집인, 디자이너로 혼을 쏟아부어 《토지》를 세 차례나 완독한 뒤 품격있는 작품으로 만들어냈다. 그는 “돈을 생각하면 할 수 없었던 일”이라고 강조했다. 

인터뷰 끄트머리에 얼굴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대의명분 하나만 붙들고 있는 형형한 눈빛의 의병장 느낌도 있지만, 민초들에게 가없는 애정을 품고 우직함과 호방함을 갖춘 임꺽정의 느낌도 풍긴다. 

하기야 의병장이나 의적 우두머리나 ‘의’(義) 하나로 충분히 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사이 안개는 걷혔다. 낯설었던 파주 출판도시가 녹두벌 또는 양산박처럼 호젓하고 아늑해졌다. 

글ㆍ사진 |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이전글 아름다운 보물들
다음글 한국 사회에 뿌린 ‘지식의 밀알’ 어느새 2,500권